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도여행
- 베트남
- Photographer BK
- 추억
- 에세이
- 24-105L
- 유럽배낭여행
- 라오스
- 포토메타
- nikon d700
- 북유럽
- 비하르
- 여행
- 1d mark III
- 아시아
- Nikon D3
- 베니파티
- 야경
- 사진
- 유럽여행
- 유럽
- 핀란드
- 17-40L
- 아코르
- 배낭여행
- 인도네시아
- 타운포토
- 포토에세이
- 인도
- 행복
- 2017/05 (2)
- 2015/09 (1)
- 2015/08 (1)
- 2015/03 (2)
- 2015/02 (18)
- 2015/01 (1)
- 2014/10 (3)
- 2014/09 (1)
- 2014/07 (2)
- 2014/06 (6)
- 2014/05 (8)
- 2014/04 (7)
- 2013/04 (6)
- 2013/03 (9)
- 2013/01 (1)
- 2012/11 (4)
- 2012/10 (9)
- 2012/09 (3)
- 2012/08 (4)
- 2012/07 (2)
- 2012/06 (7)
- 2012/05 (8)
- 2012/04 (7)
- 2012/03 (10)
- 2012/02 (3)
- 2012/01 (5)
- 2011/12 (4)
- 2011/10 (5)
- 2011/09 (5)
- 2011/08 (8)
- Today
- 3
- Total
- 715,397
목록라오스 (25)
소란한 일상들
-그런저런 여행사진,그리고,그런저런 끄적임들, - #1.오지 않을 너를, 하염없이 기다리던 그때의 내 마음을, 네가 조금은 알 수 있었을까? #2.하루를 꺼내어 묻고 또 되물었어, 오늘은 어땠냐고? 말이지. '내일도 오늘만 같았으면'이란 답이 늘 돌아왔으면 좋겠어. 그렇게, 집으로 가는 길. #3.막연한 내일을 기대하기보다, 오늘을 확신하는 자신이 되기를,
⬆ 전혀 모르는 두남녀가 송크란 축제를 맞아 축원의 의미로 물을 뿌려주고 있습니다. @라오스 방비엥 황금 미소를 찾아 다녀오겠습니다.인디아나존스처럼 대단한 모험으로 금광을 찾는 일은 서부시대를 개척하는 일에서 상당히 중요한 일이었습니다. 물론 지금 금의 가치는 하늘 높은지 모르고 오르고 있죠.혼자 배낭을 메고 금광을 찾기란 쉽지 않겠지요? 요즘 같은 시대 각자가 스스로 마음의 문을 닫고 살아가며 마음 편히 웃기란 쉽지 않겠지요.그 속에 많은 우리 일상의 일들과 스트레스로 인한 문제를 빼놓을수 없을 것입니다.저는 비록 황금빛 금광을 찾진 못해도, 행복이라는 말이 절로 흘러나올 수 있는 황금 미소를 또 찾아 헤멜 것입니다.이번 촬영은 생각했던 시간과 장소가 모두 바뀌었습니다만 어떤 금보다 가치있을 그들의 삶..
비행기, 자동차, 오토바이, 기차, 자전거등 여러가지 탈 것 들이 우리가 가는 목적지로 실어다 준다. 하지만 이 므앙 응오이는 경우가 조금 다른 편에 속한다. 바다나 큰 강으로부터 떨어진 외딴 섬도 아니고 산속 깊은 곳에 존재하는 작은 마을이다. 이 곳은 육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길이 없는 곳이다. 모터동력선을 타고, 계곡의 상류로 약 1시간 넘게 올라가야 만날 수 있는 그 곳, 므앙응오이로 향하던 날...
10년이 훨씬 더 지난 이 맘때 즈음, 충격적인 전화를 한통 받았었지요. 나 하나만 바라보고 살던 내 어머니가 돌아가셨드랬어요. 어떤 생각도 들지 않고 어떻게 갔는지 기억도 나지 않지만, 그때에 나는 내 어머니를 보내드렸어야만 했었습니다. 그때 참 많은 방황을 했었지요. 오늘 문득 길을 걷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한 참을 걷지는 않았지만, 조금은 아무 생각없이 길을 걸어봤습니다. 조금은 엉뚱한 상상도 하면서 말이지요. 돌이켜보니 참 많은 사랑을 받으며 살아왔다는 생각도 들어 혼자 피식 웃기도 했으며, 그때 나를 두고 왜 다 떠났나며 원망했던 기억도 자연스레 떠오르더군요. 아직 참 많이 어린 듯 합니다. 그래서 요즘은 누가 나이를 물으면 20살이라고 농담도 하지요. 그리고 저는 저보다 더 어려운 친..
그들에게 신년이 1월 1일이 아니다.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쏭크란 축제를 즐기고 있었다. 가만히 있어도 더위가 괴롭힌 날씨는 시원한 물줄기 하나에날아가고, 짜증보다는 즐거움으로 모두가 그 순간을 즐기고 있었다. 물론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일부 외국인은 굉장히 화를 내는 사람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같이 어울리고 함께 즐겼다. 어떤 나라를 여행하면, 그 나라의 문화를 기본적으로 존중해야함은 물론이요, 그들과 동화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면 또 여행의 또 다른 매력이 생길 것이며, 기념 사진 보다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추억을 선물 받을테니까... 이토록 뜨거운 이 날씨, 여러분도 물줄기 한번 흡수 해보시지 않으실런지요?
월드컵이 사람 잡습니다. 오늘 원정 첫 16강전이 치뤄집니다. 저는 이렇게 예상을 해봅니다. 지더라도 경기내용만큼은 좋길 바랄뿐입니다... 아르헨티나전 4골을 실점했지만 굳이 먹지 않아도 될 골이 많았고, 그렇게 위협적이지만은 않았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떠신가요? 다 같이 대! 한! 민! 국!
여러 말이 필요 없지요... 새벽에 뜬눈으로 보내신 분들이 많았으리라 생각됩니다. 머나먼 아프리카 땅에서 16강이라는 쾌거를 이룬 한국축구대표팀의 낭보가 너무 기쁩니다. 또 그들만의 월드컵이 될 뻔했지만, 8년만에 우리도 토너먼트로 진입했습니다. 오늘은 그저 웃음만 지니고 싶습니다. 하지만 8강으로 가기위해 수비보강(수비와 미드필더간의 유기적 플레이, 압박)이 절실합니다. BBC 해설자는 감독의 전술이 궁금하다, 선수교체 타이밍을 못찾는다는 말을 내뱉더군요. 참 동감하지만, 오늘만은 그저 기쁜 마음으로 보내고 싶습니다. 저 아이들의 미소처럼 말이지요.
대나무로 엮은 다리가 있지만, 통행세 한푼이라도 아끼기 위해 강을 건넌다. 나도 함께 걸어본다. 마치 같은 하루를 마무리 하는 것 처럼... 또 다른 내일이 있기에 오늘의 하루는 여기서 끝이난다. 오늘 하루도 고군분투 하신 분들.. 고생하셨습니다.
가난은 죄가 아니다. 이 말은 참 오래전부터 많이 들어왔고,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말이다. 사람이 태어남에 대한 선택권은 없다. 내가 원한다고 해서 부잣집에서 태어날 수 없는 노릇이고, 내가 싫다고 해서 가난한 부모 밑에서 태어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니까. 우리는 삶을 살아가면서, 선택할 수 있는 권리와 선택할 수 없는 의무를 지니며 살아간다. 그것이 우리의 인생의 굴레이며, 불교에서는 인연의 윤회라고 설명하고 있었다. 칼 마르크스가 그것을 타파하기 위해 공산주의 이론을 들고 나왔을때, 모두들 이 이론이야 말로 모두가 평등해 질 수 있는 유일한 제도적 장치라고 열광했다. 100년이 흐른 지금 어떤가? 마르크스는 단 한가지를 간과했다. 그것은 바로 사람의 욕심! 욕심으로 인해 모두가 톱니바퀴처럼 맞아떨어질..
2002년의 영광이 지난지 8년이 흘렀습니다. 2006년의 안타까움이후 4년을 기다려왔습니다. 201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월드컵이 드디어 오늘 개막합니다. 그리고 바로 내일 첫 경기, 그리스와의 한판승부가 한국 시간 8시 30분에 치뤄집니다.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여러분의 꿈과 대한민국을 외치며 응원하고 있을 한국인 모두를 위해... 또 지구 곳곳에 축구공 하나로 미래를 꿈꾸고 있는 아이들의 꿈을 위해서라도 투혼을 발휘해주세요. 성적보다는 한 경기, 한 경기 세계가 감동할 수 있는 대한민국 다운 90분을 보여주세요. 저는 여러분의 능력을 믿습니다. 여러분은 나에게도, 그리고 우리 대한민국 국민 모두의 대표선수이니까요...
해질녘까지 메콩강 옆 바위에 앉아 해를 읽고, 강을 듣던 그 소년이다. 내가 다가 갔을땐 그 소년과 나 단둘이 있게 되었다. 소년은 나를 경계하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내게 미소를 머금은 표정을 단 1초도 안되는 시간만 허락하였다. 그 소년의 마음은 그 미소를 머금은 짧은 시간후, 나에게 많은 것을 알려주었다. 언제든지 환영 받을 수 있는 사람, 사랑 받을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스쳐가는 바람이 나를 환영하고 사랑한다는 것도...
우리는 살면서 기도를 참 많이 한다. 인간이 얼마나 약한 존재임이 들어나는 순간이 아닐까 한다. 늘 위대한 자연앞에 고개를 숙이게 되고, 또한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에도 참 가슴이 벅차다. 내가 돌아본 어떤 세상에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늘 신이라는 존재에 감사의 기도를 드리며 무사안녕을 바라는 사람의 모습을 참 많이 봐왔다. 그것은 참 숭고하다고 생각한다. 신을 믿지 않는 사람도 자신도 모르게 어떤 절대적 존재에게 기도를 하는 모습을 떠올려 보자. 리쳐드 도킨스는 인간이 망각속에서 만들어낸 것이 신이라는 존재고, 절대적 존재라고 역설하지만, 굳이 학문적으로 접근 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내 안의 나이든 아니면 어떤 절대적 존재(신)이든, 자신의 간절함의 표현이니까... P.S - 저와 이야기를 나누고 싶으..